2024년. 하계특강. 질적연구용맹정진프로그램 |
2024.07.06. ~ 2024.08.24.(매주 토요일 오후 12시~7시)
- 용맹정진(勇猛精進)이란 진리를 내 것으로 만들기 위해 목숨을 걸고 수행하는 공부를 의미합니다. 방학기간 동안 질적연구 방법론 전체를 한 번에 이해할 수 있는 교육과정으로 여름방학 특강 동안 전력을 다하여 질적연구 수행에 궁금증이 해소되는 소중한 시간이 되기를 바랍니다.
- 본 강좌는 연구자의 연구주제 및 관심주제 등에 대한 예시와 연구방법론과의 연결을 통한 강의로 수강생의 연구진행에 직접적인 도움이 되도록 진행됩니다.
- 본 프로그램은 질적연구의 철학적 배경(사회구성주의, 실증주의, 상징적 상호작용론, 현상학)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기반으로 하여 대표적 방법론(근거이론, 현상학, 생애사, 사례연구)과 응용방법론(혼합연구, 질적평가, 내용분석, 포토보이스, 내러티브, 질적연구·양적연구 혼합방법론)을 활용할 수 있는 연구역량 강화에 목표를 두고 있습니다.
- 강의자 소개: 강의자는 질적연구 전체 방법론 각각을 적용, 연구하여 모든 질적연구 방법론에 대해 통탈력 있게 직강·자문이 가능한 HA연구소장이며, 1일 총 7시간(방법론 강의 5시간 + 연구자문 2시간), 총 8주 56시간 동안 연속 강의 및 통일감있게 연구자문함으로써 수강생의 연구내용에 실질적인 연구방법론 교육 및 자문이 가능하도록 진행합니다.
- 수강대상: 학위논문 준비생(석·박사), 연구자, 질적연구 입문하실 분, 학술지논문 준비하실 분, 사회과학분야 연구(상담·심리·교육·복지·사회학 등), 간호학·보건학, 예술·체육학, 복합학 분야 등 질적연구에 관심있는 분
- 연구자문 시간 방식: 연구방법론에 대한 문의와 더불어 연구자의 연구 진행 전반에 대한 문의를 QnA 방식을 통해 실시간 상호작용 과정으로 진행합니다.
- 연구자문 구체적 예시: 질적연구방법론 전반 QnA, 질적연구에 적합한 연구제목 설정, 연구목적의 의미, 연구주제의 가치, 주제에 맞는 연구방법론 선정, 선행연구 조사방법, 자료수집 및 효과적인 연구참여자 인터뷰 방법, 질적연구방법론을 적용한 자료분석 방법, 연구의 시사점 및 의의의 중요성 등 연구 전반에 대한 논의로 진행됩니다.
- 방법론 매뉴얼, 분석글쓰기 훈련 교재는 HA연구소에서 자체 제작, 교부합니다.
|
구분
|
일자 |
내용 |
구분 |
일자 |
내용 |
1회차 |
2024 7월 6일 (토) |
「질적연구의 핵심 이해」 • 질적연구 특징과 개요 • 사회구성주의, 논리실증주의와 질적연구 • 자연주의적 탐구와 질적연구자 • 질적연구의 특징과 연구참여자 표집 방법 - 질적연구 지식의 특징 -구조를 볼 수 있는 능력 • 질적연구의 엄격성과 윤리적 문제 -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- 개인정보 보호법 - 통계법 -세계의사회 헬싱키선언 -기관생명윤리위원회(IRB)에 승인된 실제 연구 계획서 - 연구자 서약서 - 연구참여자 대상 질문지 구성과 반구조화 면담질문지 구성방법 |
5회차 |
2024 8월 10일 (토) |
「생애사 연구, 문화기술지 연구」 • 생애사 연구 방법 - 생애사 연구의 역사/관점/의의/특성 - 생애사 연구 자료수집 - 생애사 자료의 분석 - Lieblich, Tuval, Mashiach and Zilber의 분석 방식 유형 - Mandelbaum의 생애사 연구 예시/분석 연습 - Rosenthal 생애사 연구 예시/분석 연습 - Schutze의 내러티브 인터뷰 생애사 연구 예시/ 분석 연습
• 문화기술지 연구 - 문화기술지의 어의와 특성 - 인류학(Anthropology)과 문화기술지 - 문화인류학에서의 문화 - 문화기술지 연구에서의 기능주의/구조주의 - 문화기술지 연구의 관점 - 문화인류학 저작 분석 - 문화기술지 관찰 예시/연습 - 관찰/자료수집/참여관찰과 비참여관찰 - 자문화기술지 글쓰기 개요/방법/특징/정향 - 총체적 문화기술지 실례 - 신문화기술지 실례
|
2회차 |
2024 7월 13일 (토) |
|
|